Surprise Me!

[자막뉴스] 비밀인 듯 아닌 듯...논란의 北 미사일 기지 / YTN

2018-11-15 20 Dailymotion

"황해북도 삭간몰 일대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강원도 원산을 지나…." <br /> <br />미국의 민간 연구단체인 국제전략문제 연구소, CSIS에서 미신고 미사일 기지라고 보고한 '삭간몰'은 지난 2016년 3월부터 알려진 곳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면서 이미 정보 당국이 주시하고 있던 곳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CSIS가 20곳 정도의 미신고 미사일 기지 가운데 13곳을 확인했고 관련 보고서도 계속해서 나올 것이라 예고했지만, 다른 곳 역시 우리 군 당국이 이미 파악하고 있는 곳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영국 군사 매체인 '제인스'에 나타난 북 미사일 기지 현황으로 한미 군 당국이 정밀 감시하고 있을 북한 미사일 기지를 추정해볼 수 있는데, DMZ에서 가장 가까운 전방에는 사거리가 300~500km인 스커드 계열 단거리 미사일 기지 3곳이 배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안을 따라서는 일본과 알레스카까지 공격이 가능한 사거리 최대 5,000km인 화성 12형 등 중거리 미사일을 쏠 수 있는 기지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거리가 먼 후방에는 노동미사일 기지와 함께, 사거리가 최대 만km 이상인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기지가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 3곳과 내륙 1곳 등 4곳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CSIS에서 확인했다고 주장하는 13곳은 이곳들로 추정되는데, 여기에 흩어져있는 소형 미사일 기지까지 합하면 북한에 20곳 안팎의 미사일 기지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, 최근 들어 미사일이 계속 개량되고 있는 만큼 이런 미사일 기지가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지난해 7월, 이미 기지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한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, 이 역시 첩보 장비와 발사 신호 역추적으로 사전 징후가 파악 가능하다는 것이 우리 군의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미사일 기지가 이미 군사 매체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제기돼온 만큼 이번 보고서가 비핵화 협상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거란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 대통령도 새로울 것이 없다고 밝혀 이번 논란이 수그러들 가능성이 높지만, 미 내부의 여론 변화 등에 대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한연희 <br />촬영기자 : 이승환 <br />영상편집 : 전주영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11510124479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